반응형

-6. 4일차(7월 28일) 뷔르츠부르크(wurzburg)-tauberbischofsheim-Lauda-konigshofen-Bad Mergentheim

 

당일: 58Km / 누적:58Km

 



해가 일찍떠서 6시에 일어났습니다.

더워서 텐트 플라이도 설치하지 않고 자다가 새벽에 갑자기 빗방울이 쏟아지는 바람에 황급히 플라이도 설치하고 자전거에 방수도 까지 씌우고 나서야 잘 수 있었습니다. 아침까지도 비가 내렸는데, 일기예보를 보니 오후에는 날씨가 갠다고 나와 있어 바로 출발하기로 했습니다.



바로 옆 사이트에 있는 텐트. 자전거로 홀로 여행하시는 독일인 아주머니로 주말을 맞아 프랑크푸르트에서 여기까지 자전거로 왔고, 오늘 다시 집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하십니다.
독일에는 이렇게 남녀노소 자전거에 짐을 싣고 여행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길도 묻는 등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다시 짐을 싸고 출발합니다. 두어번 패킹을 해 보았더니 이제야 좀 익숙합니다.



로만틱가도로 들어서는 길의 표지판 입니다. 저 마크만 따라가기만 하면 종착지인 '퓌센'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코스가 짜여 있습니다..
그러나 저 밤색 표지판은 자동차용 표지판이고, 자전거용 표지판은 녹색 표지판이 따로 있습니다.


 

오늘 먹을 물과 식량을 사러 마트에 들렀습니다. 하지만, 일요일이라 문을 닫았습니다. 독일 모든 마트는 일요일에는 이렇게 문을 닫습니다. 그것도 모르고 당연히 한국처럼 문을 열줄 알고 갔다가 매우 당황했습니다. 다행이도 주유소에 딸린 편의점같은 것들은 연다고 하니 중간에 들르기로 했습니다.

 



낙엽이 많이 떨어진 로만틱가도 자전거 도로 초입




뷔르츠부르크를 벗어나 처음 만난 마을 Hochberg. 로만틱 가도의 첫번째 마을 입니다.


 

다행히 마을 바로 앞에 있는 주유소에서 편의점을 찾았습니다. 가격은 대략 마트의 2~3배라 비싸지만 어쩔 수 없기에 물과 간편식(샌드위치)를 구매 했습니다.

 



주유소에서 음식을 사고 바로 만난 갈림길. 왼쪽은 가파른 업힐이고 오른쪽은 평지 였습니다. 주위에 표지판도 없고 지도에도 일반 길로 표현되어 있어서 갈림길 앞에서 사람이 나타나길 기다렸습니다. 잠시후 마을 사람이 오길래 물어보니 그도 고민하다 왼쪽이 맞는것 같다고 했습니다.

고맙다고 인사를 나누고 헤어지려는 찰나, 뒤에서 지켜보던 다른 사람이 대화를 들었는지 오른쪽으로 가도 상관없다고 하며 지나갔습니다.

 

마음은 오른쪽으로 가고 싶지만 길을 알려준 마을 주민에게 미안해서 결국 왼쪽으로 갔는데 끝없는 업힐이라 매우 힘들었습니다.

결국 중간즈음 다시 이곳으로 돌아와서 평지인 오른쪽 길로 갔습니다. 훨씬 수월하고 짧은 길이라, 다행이었습니다.  


 

드디어 만난 자전거 도로용 표지판. 이렇게 갈림길마다 다음 목적지와 거리가 잘 나와 있어서 쉽게 갈 수 있습니다.

단, 여러 자전거 도로 중에 본인이 계획한 길이 맞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위의 사진처럼 로만틱 가도라는 표찰이 붙어 있습니다.

 



지평선 너머까지 끝없이 평쳐진 보리밭.




같이 여행하던 커플. 

독일에서는 같은 자전거 여행자끼리 길에서 마주치면 서로 안면이 없어도 Hallo! 라고 반갑게 인사하고 지나갑니다.

별것 아닌것 같지만 종종 힘들때 큰 힘이 되곤 했습니다.




 

명료하게 써진 직진표시.

 



계속 이런 보리밭과 숲이 어울러진 길을 달렸습니다. 충청/전라도 흔한 길과 크게 다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주위에 산이 없다보니 나름 이국적이었습니다.

날씨가 비는 오지 않고 흐리기만 해서 선선하게 달릴만 했습니다.




오후 1시 반 경에 Tauberbischofshim 이라는 마을에 도착 했습니다. 중간 경유지인 마을이니 구경하지 않고 지나가기로 했습니다. 로만틱 가도에 있는 모든 마을이 관광지는 아니고 이렇게 그냥 평범한 마을도 여정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런 마을을 지나치다 보면 일반적인 독일시골 마을을 체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리를 건너는데 굉음이 들려서 보니 말로만 듣던 아우토반 인듯합니다.



드넓은 보리밭에 우뚝 서있는 나무



나무 사진을 찍고 마침 허기져서 아침에 주유소에서 산 바게뜨 샌드위치를 먹었습니다. 편의점 샌드위치인데 베이커리 샌드위치 맛이 났습니다. 3천원치고는 혜자 입니다. 빵이 딱딱해 보였는데 부드럽고 맛있었습니다.


 

윈도우 배경화면 같은 드넓은 초록색 들판입니다. 보기에는 멋지지만 막상 저 안으로 들어가면 잡벌레가 수십마리는 달라붙어서 그냥 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겠습니다.

 



자전거 표지판이 얼마나 잘 되어 있냐면, 이렇게 별것 없어 보이는 옹벽에도 갈림길마다 방향이 나와 있습니다. 빨리 달리다가 여행중에 몇 번 놓친적이 있었지만, 천천히 가다보면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길 중간에 제법 큰 오리들 무리가 길을 막고 있어서 내쫒느라 고생했습니다. 사람하고 친숙해서 그런지 도망도 안갈 뿐더러 너무 컸습니다.

가방에 있던 식빵을 조금 떼서 던저주니 그제야 길을 비켜 줍니다.



오후 3시 부터는 날씨가 맑아졌습니다. 직사광선을 맞으며 달리니 이때부터 체력이 급격히 저하되서 다음 마을인 Bad Mergentheim에서 오늘의 여정을 마치기로 결정 했습니다.

잘 달리는 사람은 하루에 100km씩 다닌다고 합니다. 전 초보에다 무리하고 싶지 않아서 하루에 50~60km씩 천천히 구경하며 달렸습니다.



 

자전거 길 옆으로 계속 이런 개천이 흐르고 있었는데 물이 너무 맑았습니다. 너무 덥길래 그냥 들어가서  젖는 것을 신경쓰지 않고 누웠습니다. 그럼에도 물구하고 대기가 얼마나 건조한지 30분 정도 달리면 옷이 금새 마릅니다.

 



Bad Mergentheim에 도착해서 우연히도 오전에 갈림길에서 길을 가르쳐 주었던 벨기에 인을 다시 만났습니다. 반가워서 같이 캠핑을 하기로 하고 캠핑장을 찾았다. 캠핑장이 마을에서 10km는 떨어져 있고 길이 복잡해서 둘다 탈진상태 직전에 겨우 찾았습니다.

 

이름은 자비에, 벨기에 에서 경제를 가르치는 고등학교 선생님이고, 예전에 한국인 여자친구가 있어서 김치와 불고기를 즐겨먹었고 아직도 그때 생각이 난다고 합니다.이 분과는 아우구스브르크 까지 가는 경로가 똑같아서 길과 캠핑장에서 계속 마주쳐서 꽤 친해졌습니다.



 

 

아침에 장을 못봐서 소세지 2개 밖에 안남았다고 했더니 흔쾌히 파스타를 만들어 준다고 하길래 같이 먹었습니다.

 

파스타가 가벼운데다 조리도 간편해서 자전거 여행자들이 많이 먹는다고 하길래, 다음부터는 파스타를 사서 가지고 다니기로 했습니다.

 


 

오늘의 캠핑장입니다. 하루 캠핑요금은 10유로로, 샤워가 무제한이고, 주방에다, 별도 세탁기까지 있으니 매우 고급입니다. 세탁기는 세탁 2유로, 건조 2유로로 그리 싸진 않지만 여행자들에게 꼭 필요한 시설입니다. 세탁물도 얼마 안되는데 건조 비용이 아까워서 세탁만 하고 건조는 대충 텐트 안에 펴서 말렸습니다.

핸드폰 및 보조배터리 충전은 리셉션에 맡겼습니다. 보통 전자기기 충전은 리셉션에 맡기면 잘 충전해서 아침에 돌려줍니다.

 

저 빨간 텐트는 이탈리아에서 온 젊은 커플이었는데 도움을 요청하지 않아도 텐트치는 것도 도와주고 흥겨운 커플이었습니다. 같은 자전거 여행자끼리 다같이 밖에서 맥주라도 마시기로하고 리셉션에서 사왔는데 갑자기 강풍을 동반한 폭우가 쏟아져서 아쉽지만 다음을 기약하고 각자 텐트로 들어가 10시쯤 잤습니다.

 

-계속-

반응형
반응형
유럽 자전거 여행을 떠나기 위해 제가 가져갔던 짐들을 소개 합니다.
최소한으로 가져가기 위해 노력했지만 불필요한 것들도 많았고, 처음이라 겪었던 착오가 있었습니다.
 
 
텐트, 매트, 침낭, 수낭, 수저통, 코펠

텐트는 2kg미만이어야 했고, 자립형이어야 했으며, 폴대와 천이 튼튼한 것을 고르느라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100만원대가 넘어가는 텐트라면 쉽게 찾을 수 있었으나, 가성비를 따져야 했기에 힐맨사의 인기상품인 클라우드 2 모델이
가격대 성능비가 좋다고 해서 샀습니다.
가격도 싸고 전실도 크진 않지만 확보가 가능해서 요리를 하거나, 짐을 보관하기에도 용이 했습니다.
 
침낭은 대학시절 산악부동아리를 할 때 여름 설악산 종주시에 사용하던 것인데,
동대문에서 3만원 정도에 구매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유럽에서는 한여름에도 밤에 추워서 매번 깼던 기억이 있습니다.
자켓에 긴바지까지 입고도 추워서 덜덜 떨면서 잤는데 좀 두툼한걸 가져가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초록색으로 보이는 수낭은 역시 산악부 활동할때 유용히 썻던 것인데
물이 4L나 들어가서 페트병 2개 분량의 부피를 줄일 수 있기에 아주 유용합니다.
 
 
옷가지들(티3장, 반바지 3장, 긴바지 2장, 속옷 4장, 방수자켓, 남방, 모자, 자전거용 장갑) 헬멧, 슬리퍼, 기능성 신발, 스포츠 타월 2개
 
모두 기능성 의류로 세탁시 빨리 마를 수 있는 것으로 선택했습니다.
 
우의는 비를 막지도 못할 뿐더러, 거추장 스럽기에 안가져 가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발가락 신발은 조금 우스워 보이기는 하나, 맨발로 신을 수 있어서 양말이 필요 없었고,
물에 젖어도 금방 말라 좋은 선택이었던 것 같습니다.
 
장갑이 매우 유용했습니다. 햇볕이 너무 세서 손등에 일광 화상을 입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공구세트(육각렌치, 기름, 스패너, 드라이버, 본드, 펑크수리킷, 예비튜브, 케이블 타이, 절연테잎), 목장갑, 휴대용 펌프, 식도, 헤드렌턴, 건전지, 자전거 방수포
 
공구는 공항에서 조립할때 한번, 다시 해체할때 한번 썼습니다. 역시 타이어를 좋은걸 쓰니 여행중 한번도 펑크도 안나고 좋았습니다.
헤드 렌턴은 예비용으로 가져갔는데 다행이 해가 지기 전에 하루 여정이 끝나서 쓸 일은 없었습니다.
 

 
약(타이레놀, 메디폼), 세면도구(손톱깎이, 면도기, 샴푸, 세안제, 칫솔, 선크림)
 
 

 
전자기기(카메라, 휴대폰, 보조배터리, 충전기, 멀티어뎁터)
멀티 어뎁터는 프랑스, 독일 모두 한국이랑 콘센트가 똑같아서 쓸일이 없었습니다.
휴대폰 네비게이션이 필수기 때문에 보조 배터리는 꼭 필요합니다.  
그리고, 캠핑장마다 관리사무소가 있기에 매일 한번씩 충전이 가능합니다.

 
여행책자, 핸들바백, 크로스 미니 가방

여행책자는 짐 무게만 늘리고, 휴대폰이면 충분 했습니다. 독일 프랑스 3권을 가져갔는데 버리기도 뭐하고 아주 불편했습니다.
핸들바 백은
토픽사의 저가형 백입니다.
카메라, 휴대폰 여권등 중요물품을 넣고 다녔는데 중간 중간 관광할때 자전거 세워두고 핸들바백만 들고 다니면 되서
아주 유용했습니다.
 

 


짐을 다 싣고 자전거에 거치한 모습

자전거샵에서 얻은 박스로 포장.
자전거+부가짐이 총 30Kg이 나왔습니다. 항공사 위탁수화물 기준에 딱 맞는 무게!
 
짐을 모두 포장하고 나니 이제 정말 떠난다는 것이 실감이 났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유럽 자전거 여행을 계획하고 자전거부터 준비해야 했습니다.

자전거는 원래 타던 RALEIGH, MTB로 가려고 했으나...

여행용 자전거가 아니다 보니 확장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아 난감했습니다.

앞, 뒤 짐받이, 물통 게이지 등 아무것도 설치할 수가 없었고,

여러 자전거샵에가서 앞/뒤 짐받이를 달 수 있게 개조하려고 고생을 했으나 결국 실패.

 

 

그래서 알아보니 여행용으로 따로 나온 자전거들이 있었고 일반 자전거 대비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1. 스틸(크로몰리) 프레임, 확장성

대부분의 투어링 자전거들에는 강철의 탁월한 충격 흡수력과 튼튼함 그리고 여행 중에 불의의 사고를 당하였을 때 비교적 간편하게 용접을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크로몰리 재질의 프레임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성인 몸무게+짐=대략 100kg 가 넘는 무게를 장거리 여행기간 동안 버틸만한 신뢰성 있는 재질은 크로몰리입니다.

그리고 짐받이와 물받이를 달 수 있는 나사 구멍이 포크와 프레임에 여러 개 있고 물통을 달수 있는 케이지 볼트도 세 개 이상 갖고 있습니다.

 

2. 여유로운 지오메트리

모든 투어링 바이크는 프레임 각도 (지오메트리)가 여유롭게 설계되어있기 때문에 많은 짐을 실어도 안정된 핸들링을 보입니다. 

뿐만 아니라 뒷 짐받이에 거치할 수 있는 가방(리니어 백)을 많이 사용하는데 일반 자전거는 페달과 간섭이 발생하여 매우 불편하지만 여행용 자전거는 그 간격이 길기 때문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일반자전거보다 월등히 많은 휠셋

2. 튼튼한 휠셋-보통 26인치 36 hole 휠셋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무거운 짐을 많이 싣게 되면(약 36kg) 이상 자전거에서 가장 많은 하중을 받는 타이어의 휠셋이 견디지 못하고 부러져 버리는데, 이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장거리 여행에 있어서 튼튼한 휠셋은 필수가 되었습니다.

3. 강력하고 심플한 브레이크-캔티 레버 브레이크를 많이 사용합니다. v브레이크 못지않은 강력한 성능을 내고 드랍바에 다는 로드 브레이크 레버와 호환이 되기 때문에 주로 많이 사용합니다. 또한,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수리가 쉽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투어링 바이크를 알아보게 되었고, 신품은 너무 비싼 가격(기본셋 기준 150만원 이상)을 형성하고 있어 중고로 알아보게 되었습니다.(짐받이가 달린 풀셋 기준 100만원대)
Surly 사의 LHT라는 자전거가 자전거 여행자들 사이에서는 제일 유명하고 성능도 좋다기에 중고 장터를 매복하고 있다가 아래 매물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판매자분이 팔려고 올린 사진

 

 

자전거 스펙은 아래와 같고, 앞 구동계 울테그라, 뒷 구동계 데오로 xt급으로 풀셋을 약 100만 원에 구했으니 잘 산거 같습니다.

프레임

Surly LHT 54cm 사이즈 검정

포크

Surly LHT 검정 (스티어러튜브 길이 31.8cm)

휠셋

Alex Adventurer 36h. Black w/ eyelets (ERD 543mm)

Alex Adventurer 36h. Black w/ eyelets (ERD 543mm)

허브

Shimano xt-m770 36홀 실버

Shimano xt-m770 36홀 실버

스포크

DT Swiss, 14g stainless. Silver

니쁠

DT 황동 니쁠

변속레버

Shimano Dura-Ace sl-bs78 바 엔드 시프터

크랭크

Shimano Ultegra 3단 fc-6703 175mm(52-39-30)

비비

Shimano Dura-Ace bb-7900

변속기

Shimano Ultegra 3단 fd-6703 28.6mm

Shimano XT RD-M772 SGS 셰도우

스프라켓

Shimano XT 10단 cs-M771 11-36T

체인

Shimano XT 10단 CH-HG94 HG-X 116 링크

스템

Salsa Pro Moto 25-Degree Stem

핸들바

Salsa Bell Lap drop bars 44cm 31.8mm

그립(바테잎)

TERIX 폴리우레탄 바테잎 검정 (신품, 미장착 중)

페달

일반 평폐달

안장

Brooks B17 임페리얼 검정

헤드셋

CHRIS KING TI

튜브

SCHWALBE sv-13 60mm x 2

타이어

SCHWALBE Maraton plus 26 x 1.75

QR

Pitlock 프런트&리어 휠&싯클 램프용 잠금장치 (도난방지용)

브레이크

텍트로 cr720 폴리 실버

텍트로 cr720 폴리 실버

브레이크 레버

케인 크릭 scr-5 실버

케인크릭 scr-5 실버

싯클 램프

Surly Stainless 30mm black

싯포스트

일반 각도조절용 싯포

스페이서링

리졸버 알루미늄 검정

머드가드

sks mtb 60mm (bluemels B60)

TUBUS TARA 검정

TUBUS CARGO 검정

물통 케이지

토픽 2L 물통 케이지, 슈타이너 물통케이지 검정

킥스탠드

플레쳐 Double Leg 킥스탠드 실버 (고무없음)

이제 자전거 준비를 마쳤으니 떠나기만 하면 될것 같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